스마트시대

Openstack -2 본문

클라우드관련/Openstack

Openstack -2

스마트시대 2021. 8. 20. 18:50
728x90

3. 프록시서버(로드밸런서 역할)

 

  • 프록시 설정의 일환으로 ha-proxy를 설치해준다.

 

 

  • vi /etc/haproxy/haproxy.cfg에서 하단과 같이 설정해준다.

frontend main *:80

server static 127.0.0.1:80 check

server app1 192.168.31.213(인스턴스에 할당된 IP):80 check

server app2 192.168.31.211(인스턴스에 할당된 IP):80 check

설정이 완료되면 systemctl restart haproxy를 실행해준다.

 

  • 브릿지 대역대의 IP를 입력하고 새로고침을 계속 눌러주면 라운드 로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2-4. 2node설정과 가용영역

  • cont1서버에서 comp1로 ssh접속할 때 패스워드 입력없이 연결되는 것을 확인한다.

 

  • comp1서버에서 cd .ssh 후 vi authorized_keys에서 root@con1이 있는 것을 확인한다.

 

  • cont1서버로 돌아와 vi test.txt의 79줄에서 NTP_SERVERS를 설정해준다.

 

  • 97줄에서 172.16.0.1, 172.16.0.2(Host only주소)를 추가해준다.

 

  • VMWARE설정의 cont1, comp1의 Virtualiztion engine -> Virtualize Intel VT-x/EPT or AMD-V/RVI에 체크가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.

 

  • sed -i 명령어로 IP주소를 변경하고 packstack --answer-file test.txt를 실행해준다.

 

  • packstack이 완료되면 comp1의 ip addr에서 ens33, ens37에 해당 IP 주소가 등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.

 

  • 오픈스텍 dashboard의 compute-> gkdlvjqkdlwjdp 호스트 이름에 comp1, cont1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다.

 

  • compute -> 호스트 집합에서 가용영역을 생성할 수 있다. 호스트 집합 정보탭에서 이름을 입력하고 호스트 집합 내에서 호스트 관리 탭에서 comp1, cont1을 선택된 호스트로 이동시켜주고 호스트 집합을 생성한다.

 

  • 생성된 호스트 집합 -> 편집을 눌러 가용 구역을 a로 지정해주면 가용성 존에 있던 nova라는 이름의 가용성 존이 a로 변경되며 가용영역 사용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.

 

728x90
반응형

'클라우드관련 > Openstac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Openstack -1  (0) 2021.08.20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