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마트시대
원격 접속 프로그램 본문
728x90
1.putty
putty : 가볍다. 범용적
아이피 주소와 포트번호 기기명을 saved sessions에 입력해주고 저장을 한다.
참고사항
0번 ~ 1023번: 잘 알려진 포트 (well-known port)
1024번 ~ 49151번: 등록된 포트 (registered port)
49152번 ~ 65535번: 동적 포트 (dynamic port)
외워야하는 포트 번호 정리
20 | TCP | 파일 전송 프로토콜 (FTP, File Transfer Protocol) - 데이터 포트 |
21 | TCP | 파일 전송 프로토콜 (FTP, File Transfer Protocol) - 제어 포트 |
22 | TCP | 시큐어 셸 (SSH, Secure SHell) - ssh scp, sftp같은 프로토콜 및 포트 포워딩 |
23 | TCP | 텔넷 프로토콜 (Telnet Protocol) - 암호화되지 않은 텍스트 통신 |
25 | TCP | SMTP (Simple Mail Transfer Protocol) - 이메일 전송에 사용 |
53 | TCP,UDP | 도메인 네임 시스템 (DNS, Domain Name System) |
67 | UDP | BOOTP (부트스트랩 프로토콜) 서버. DHCP로도 사용 |
68 | UDP | BOOTP (부트스트랩 프로토콜) 클라이언트. DHCP로도 사용 |
123 | UDP | NTP (Network Time Protocol) - 시간 동기화 |
139 | TCP | 넷바이오스 (NetBIOS, Network Basic Input/Output System) |
143 | TCP | 인터넷 메시지 접속 프로토콜 4 (IMAP4,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4) - 이메일 가져오기에 사용 |
443 | TCP | HTTPS - 보안 소켓 레이어 (SSL, Secure Socket Layer) 위의 HTTP (암호화 전송) |
445 | TCP | Microsoft-DS (액티브 디렉터리, 윈도 공유, Sasser-worm, Agobot, Zobotworm) |
990 | TCP | SSL 위의 FTP (암호화 전송) |
992 | TCP | SSL 위의 Telnet (암호화 전송) |
993 | TCP | SSL 위의 IMAP4 (암호화 전송) |
995 | TCP | SSL 위의 POP3 (암호화 전송) |
DNS는 평상시에는 UDP를 사용함.
단 두가지 경우에는 TCP를 사용함.
1.전송하는 데이터가 512byte를 넘어갈 때( 이 제약 때문에 전세계 Root DNS 서버가 13개 뿐이다.)
2.파일 트랜스퍼 할 때 (주영역에서 보조영역으로 데이터 전송할 때)
2.xshell
xshell : 무겁다. 국내 회사 제품이면서 많은 기능을 제공. 인터페이스가 편리하다.
이름과 프로토콜 호스트를 지정해준다.
자동 로그인 설정으로 이렇게 로그인 정보를 저장해준다.
728x90
반응형
'온프레미스 > VMw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XenServer (0) | 2021.08.19 |
---|---|
2.윈도우 서버 설치 (0) | 2021.06.19 |
1.VMware 설치 (0) | 2021.03.25 |
Comments